
뉴스엣지 한장희 기자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헬기 이송 관련해 전국적으로 규탄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특히 영·호남 지방 의사회는 물론 서울 지역 의사회도 성명을 내고 비판하고 있다.
여기에다 한 의사단체는 이 대표를 검찰에 고발한다고 밝혔다. 대한소아청소년과의사회(소청과의사회)는 8일 오전 10시 서울중앙지검에 이 대표와 측근들을 상대로 고발장을 내겠다는 입장이다.
소청과의사회는 이 대표 헬기 이송이 부산대병원과 서울대병원의 업무방해로 이어졌다고 보고 있다.
앞서 부산과 광주, 서울 등 광역지자체 의사단체들도 이 대표의 헬기 이송을 비판하는 성명을 잇달아 발표했다.
부산시의사회는 성명에서 “지역의료계를 무시하고 의료전달체계를 짓밟아 버린 더불어민주당을 규탄한다”고 밝혔다.
서울시의사회도 “헬기 특혜 이송이 지역의료계를 무시하고 의료전달체계를 짓밟아버린 민주당의 표리부동한 작태라고 지적한 부산시의사회에 십분 공감한다”고 했다.
대전시의사회는 “지역의료 이미지를 저하하는 좋지 않은 선례를 남겼다”고 했고, 경상남도의사회는 “편법과 특권으로 얼룩진 서울행”이었다고 비판을 이어갔다.
앞서 이 대표는 지난 2일 부산에서 흉기 습격을 당한 직후 부산대병원에서 응급처치받은 뒤 소방헬기로 서울대병원으로 이송돼 수술받았다.
부산대병원 권역외상센터는 4년 연속 A등급을 받는 등 우리나라 최고 수준의 외상치료 최종의료기관이다. 그런데도 서울대병원으로 전원한 것을 두고 지역의료계를 무시한 처사라는 비판이 이어졌다.
이를 두고도 논란이 계속되고 있다. 민주당 지도부의 잇달은 설화로 분위기를 더욱 악화시키는 모양새가 됐기 때문.
정청래 민주당 최고위원은 “목은 민감한 부분이라 후유증을 고려해 (수술을) 잘하는 곳에서 해야 한다”고 했고, 논란이 계속되자 같은당 장경태 최고위원도 지난 5일 CBS라디오에 나가 해명에 나섰지만 오히려 화를 키웠다는 평가가 나온다.
장 최고위원은 CBS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와의 인터뷰에서 “부산대병원 권역외상센터는 각 시도마다 1개 정도 있는, 정말 아주 비상 응급 치료를 받아야 되는 곳”이라며 “오히려 여기서 이 대표가 눌러앉아서 치료받았다면, 정말 더 응급한 환자들을 방해할 수 있다는 오해를 받을 수 있다”고 말했다.
달리 말하면 이 대표가 초응급 환자는 아니였다는 말인데 그런 환자가 왜 헬기를 타고 서울대병원까지 전원한 것이냐는 비판이 제기된다.
여한솔 속초의료원 응급의학과장은 지난 2일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서 “응급 상황이면 부산대병원에서 수술을 받아야 했고, 응급하지 않은 상황이라면 굳이 헬기까지 탈 이유는 없다”고 지적했다.
양성관 의정부백병원 가정의학과장도 자신의 SNS에서 “초응급이라면 권역외상센터가 있는 부산대에서 치료를 받아야 하는데 서울대까지 헬기를 타고 간다니 중증이 아닐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꼬집어 말했다.
이처럼 의료계의 공분이 높아진 상황이어서 당분간 이 대표의 헬기 이송 특혜 논란이 계속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