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뉴스엣지 한나라 기자 | KT는 ‘백남준아트센터 특별전’을 생성형 AI 기술로 3D 구현해 디지털 트윈 공간에 오픈했다고 21일 밝혔다.
이번에 구현된 전시는 백남준아트센터의 굿모닝 미스터 오웰 40주년 특별전 ‘일어나 2024년이야!’로, KT는 백남준의 위성 생방송 프로젝트 ‘굿모닝 미스터 오웰(1984)’을 중심으로 기술과 예술을 결합했다고 설명했다.
또 KT는 이번 전시를 구현하는 데에 생성형 비전 AI를 활용한 ‘초실감형 3D 기술’을 사용했다고 소개했다.
기존에도 사진이나 영상에서 3D 모델을 구현할 수는 있으나, 세부 정보가 부족해 생성물의 현실감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정확한 구현을 위해서는 비싼 특수 장비로 다량의 사진을 찍어야 했다.
하지만 생성형 비전 AI 기술을 활용하면, 보통 스마트폰 카메라로도 3D 모델을 만들 수 있다고 KT는 강조했다.
다양한 각도에서 사진이나 영상을 촬영하면, 학습된 AI가 모델의 세부적인 기하학적 구조를 재구성해주는 방식이다.
전시는 지난 20일부터 약 1개월 간 백남준아트센터, 홍익대학교 서울캠퍼스 내 ‘홍익 AI 뮤지엄’과 KT 디지털 트윈 웹사이트를 통해 진행된다.
이와 더불어 백남준아트센터와 홍익 AI 뮤지엄에서는 확장현실(XR) 기기로 작품을 경험할 수 있다.
KT 디지털 트윈 웹사이트에는 저사양 디바이스에서도 작품을 원활히 감상할 수 있도록 ‘클라우드 스트리밍 기술’이 적용됐다.
기존 실감형 콘텐츠는 성능이 좋은 컴퓨터로 접속하지 않으면 끊기거나, 로딩 시간이 길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KT 디지털 트윈 웹사이트는 클라우드에서 연산 처리가 이뤄지기 때문에 관람객이 접속한 디바이스에 GPU가 없어도 원활한 감상이 가능하다.
KT AI Service Lab Vision AI 연구담당 천왕성 상무는 “현실을 가상 공간에 동일하게 재현하는 디지털 트윈 콘텐츠는 생성형 비전 AI 기술의 발전에 따라 보다 몰입감 있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며 “KT의 생성형 비전 AI 디지털 트윈 기술이 향후 3D 콘텐츠 시장의 성장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힘쓰겠다”고 말했다.